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죽어도 해피엔딩 죽어도 해피엔딩 (2007) 8감독강경훈출연예지원, 임원희, 조희봉, 박노식, 정경호정보코미디, 드라마 | 한국 | 94 분 | 2007-08-22 죽어도 해피엔딩, 달콤 살벌한 연인에서 보았던 김치냉장고 활용법이라던지, 고의로 죽인 것이 아닌 사고였다던지 하는 것은 같은 패러다임이었다. 그러나 달콤 살벌한 연인은 관객에게 상황을 제시 해주었다면, 죽어도 해피엔딩은 달콤 살벌한 연인을 관객에게 웃음을 주기 위해 극적상황을 제시 했다는 것이다. 음.. 배우 예지원의 연기도 좋았다. 그녀만의 느낌이 묻어나는 연기도 좋았고, 사고로 죽게 되는 사람들 중 동태로 죽게 된다던지, 프로포즈를 위해 한자리에 모인다던지 하는 것들. 또 이러한 상황을 모르고, 후배는 몰카를 준비한다던가 하는 것은 어떻게 시체들을 처리할.. 더보기
밀양 밀양 (2007)Secret Sunshine 7.7감독이창동출연송강호, 전도연, 조영진, 김영재, 선정엽정보로맨스/멜로, 드라마 | 한국 | 142 분 | 2007-05-23 이번에 칸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으면서 더욱 조명이 된 영화이다. 밀양 밀양은 황진이와 함께 보러간 작품이다. 전도연의 연기는 정말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것 같이 멋지게 성공했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이 영화는 약간의 종교적, 그러니까 기독교적인 느낌이 많이 들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영화를 보면서, 사람을 구원한다는 것과 그 이면에서는 어떻게 보여지는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영화였다. 더보기
문장쓰는 방법 1) 단문으로 쓰는 것의 이점. ⑴템포가 빠르다. ⑵포인트를 명확하게 드러내기 쉽다. ⑶느낌이 좋다. ⑷움직임, 행동을 강조할 수 있다. ⑸내용이 간결하게 정리된다. ⑹기억에 오래 남는다. 2)단문의 기준: 40-50자, 하나의 문장에 하나의 정보로 일관되어야 한다. 3)단문이 계속 나열 되면 글에 리듬이 생기지 않아 단조로워지기 쉬우므로 장문을 적절히 섞는다. 장문은 사고를 깊게 할 수 있고 내용을 충분히 전개할 수 있으며, 독특한 분위기, 뉘앙스를 만들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4)문장이 길어지지 않게 하려면 (1)접속조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①‘-만’이란 말을 주의하거나, 글에서 추방한다. ②‘-이기 때문에’ ‘-이지만’ ‘-이고’는 사용하더라도 같은 문장 안에서는 한번만 사용한다. ③접속조사 대신 .. 더보기
제목 만드는 방법 *제목을 만들 때 유의하여야 할 점. ①내용을 적절하게 압축할 수 있어야 한다. ②목적과 관점을 분명히 한다. ③유행어, 키워드를 활용한다. ④읽는 이의 관심이나 흥미를 끄는 단어를 사용한다. ⑤어감이 좋고 기억하기 쉬운 것을 선택한다. ⑥타이틀과 서브타이틀의 조화를 연구해야 한다. ⑦글자 수를 감안하여 15자 이내로 압축해 본다. *제목 만드는 4가지 요령. ①내용 요약형- 내용을 간결히 요약하여, 짧은 어구로 표현한다. ②인용형- 글 가운데서 뛰어난 문구가 있으면 그대로 인용해서 쓴다. ③질문형- 문제점이나 논점을 의문문으로 표시한다. ④노래 가사형- 글 가운데 인상 깊은 사실을 광고 카피처럼 표현한다. ------------------------------------------------------.. 더보기
집필방법 1.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문단(단락)으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문단- 글을 구성하는 한 덩어리라는 의미로서 각각의 주제를 떠받치는 소주제를 갖으며 형식적으로는 행을 바꾸는 것으로 드러난다. 3. 문단을 설정하는 10가지 기준. 1)시점, 견해를 새롭게 바꿀 때. 2)별도의 생각을 말하고자 할 때 3)색다른 논점으로 이야기를 옮기려고 할 때 4)구체적 예, 데이터를 첨가할 때 5)이야기의 제목, 내용이 바뀔 때 6)이야기하는 사람이 바뀔 때.(인칭이 바뀔 때.) 7)에피소드의 소개, 문헌, 자료의 인용 8)때, 장소가 바뀔 때 9)특별한 사건으로 옮겨갈 때 10)인물이나 행동이 바뀔 때 확인사살. 문단은 하나의 소주제문으로 요약이 되는가. /문단은 각각의 목적이 있는가. 4. 다양한 어휘를 사.. 더보기
시나리오 작가의 자세와 자기 훈련법 *원칙 1)매일 쓰라- 조금이라도 매일 쓰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가장 중요함. 2)쓰는 시간과 공간을 정하라- 자신에게 맞는 시간과 공간을 정할 것. 3)주 단위로 목표량을 정하라. 4)‘실전’과 ‘연습’을 구분하지 말 것. *습관 1)독서와 스크랩: 잡식성. 2)촬영 대본 만들기: 비디오 보며 영화 전편을 시나리오로 옮기기. 번안, 각색, 개작... 3)shot-by-shot: '명장면‘ 되풀이하여 보기. 콘티 작성하기. 4)파트너: 동료 작가 또는 친구. 관심, 토론, 격려, 비판...무엇보다도 ‘fun' 더보기
구조중심 시나리오 쓰기 *3막 구조의 유래와 정의. -아리스토텔레스 말하기를, “모든 이야기에는 시작, 중간, 끝이 있느니라. -명칭은 1820년대 프랑스 대중희곡에서 유래했다고 함.(eugene scribe의 극작술 이론화.) “명백하고 논리적인 이야기 전개. 결말에 관객의 모든 궁금증이 해소.”(인과관계+속시원한 결말.) -이른바 ‘고전적 할리우드 영화의 대부분을 차지함. “지나치리만큼 명백한 영화- 주인공, 인과율, 성격의 일관성, 해피 엔딩, 감정 이입...” *3막 구조의 활용. - 이론, 방법론, 공식이 아니라 도구(tool)이며 이정표(landmark)이다. *3막 구조에 맞는 시나리오의 전제. 1)확실한 주인공이 있음.(1명이 이상적.) 2)주인공이 해결해야 할 확실한 문제, 또는 추구해야 할 구체적인 목표가 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