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나리오

시나리오 작가의 자세와 자기 훈련법 *원칙 1)매일 쓰라- 조금이라도 매일 쓰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가장 중요함. 2)쓰는 시간과 공간을 정하라- 자신에게 맞는 시간과 공간을 정할 것. 3)주 단위로 목표량을 정하라. 4)‘실전’과 ‘연습’을 구분하지 말 것. *습관 1)독서와 스크랩: 잡식성. 2)촬영 대본 만들기: 비디오 보며 영화 전편을 시나리오로 옮기기. 번안, 각색, 개작... 3)shot-by-shot: '명장면‘ 되풀이하여 보기. 콘티 작성하기. 4)파트너: 동료 작가 또는 친구. 관심, 토론, 격려, 비판...무엇보다도 ‘fun' 더보기
구조중심 시나리오 쓰기 *3막 구조의 유래와 정의. -아리스토텔레스 말하기를, “모든 이야기에는 시작, 중간, 끝이 있느니라. -명칭은 1820년대 프랑스 대중희곡에서 유래했다고 함.(eugene scribe의 극작술 이론화.) “명백하고 논리적인 이야기 전개. 결말에 관객의 모든 궁금증이 해소.”(인과관계+속시원한 결말.) -이른바 ‘고전적 할리우드 영화의 대부분을 차지함. “지나치리만큼 명백한 영화- 주인공, 인과율, 성격의 일관성, 해피 엔딩, 감정 이입...” *3막 구조의 활용. - 이론, 방법론, 공식이 아니라 도구(tool)이며 이정표(landmark)이다. *3막 구조에 맞는 시나리오의 전제. 1)확실한 주인공이 있음.(1명이 이상적.) 2)주인공이 해결해야 할 확실한 문제, 또는 추구해야 할 구체적인 목표가 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