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움직이는 그림/시나리오

집필방법


1.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문단(단락)으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문단- 글을 구성하는 한 덩어리라는 의미로서 각각의 주제를 떠받치는 소주제를 갖으며 형식적으로는 행을 바꾸는 것으로 드러난다.


3. 문단을 설정하는 10가지 기준.

 1)시점, 견해를 새롭게 바꿀 때.

 2)별도의 생각을 말하고자 할 때

 3)색다른 논점으로 이야기를 옮기려고 할 때

 4)구체적 예, 데이터를 첨가할 때

 5)이야기의 제목, 내용이 바뀔 때

 6)이야기하는 사람이 바뀔 때.(인칭이 바뀔 때.)

 7)에피소드의 소개, 문헌, 자료의 인용

 8)때, 장소가 바뀔 때

 9)특별한 사건으로 옮겨갈 때

 10)인물이나 행동이 바뀔 때


확인사살. 문단은 하나의 소주제문으로 요약이 되는가. /문단은 각각의 목적이 있는가.



4. 다양한 어휘를 사용한다.

어휘의 센스를 연마하는 3가지 포인트.

1)알기 쉽게 쓴다.(고졸 수준에 맞추어서)

2)판에 박힌 형태를 쓰지 않는다. -상투적인 말을 많이 쓰면 어감이 둔해지고 신선함도 떨어진다.

3)되도록 외래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일반화된 외래어를 제외하고는 가능한한 우리말을 사용한다.

4)애매한 형용사나 부사는 숫자로 표시한다. 예)긴거리-종로에서 홍대. 서울에서 부산.

5)절대치만이 아니라 비교 대조할 수 있는 비율을 기록한다.



5. 글의 첫머리- 단문으로 시작하자.

1)첫머리에서 읽을 의욕을 없애는 경우

 (1)장문으로 시작한다.- 갑자기 쓸데없이 길고, 요령이 없는 긴 문장을 읽게 되면 지겨움을 느끼게 된다.

 (2)무거운 느낌으로 시작한다.- 처음부터 무거운 인상을 주면 읽을 의욕이 상실된다.

 (3)변명, 거절을 서두에 놓는다.

 (4)추상론부터 시작한다.


2)글의 첫머리 7가지 방법

 (1)사실, 경험, 데이터로 시작한다.

(2)생각, 시점, 입장을 명시한다.

(3)명언, 격언, 인용으로부터 시작한다.

(4)일화, 에피소드를 소개한다.

(5)사실, 데이터, 단어의 비교 대조.

(6)독특한 표현으로 흥미를 끌어낸다.

(7)드라마식으로 대화, 행동으로 표현한다.